온난화의 저주?… 벌레가 몰려온다
지난 5월 중순 진딧물이 강원도 대관령 고랭지대를 습격했다. 전례가 없는 일이다. 한여름에도 서늘해 해충이 거의 없었으나 올해는 배추·무·감자 등에 진딧물이 이상 번식을 했다. 농촌진흥청고랭지농업연구센터는 올 5월 고랭지 기온이 섭씨 13.7도를 기록, 과거 35년간 평균기온 11.9도보다 무려 1.8도 높았다고 밝혔다. 지난 10년간 ㎡당 평균 220마리였던 진딧물이 올해 5000여마리로 22배나 늘었다.
#요즘 부산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해변 해송군락지에는 누런 소나무들이 즐비하다. 솔껍질깍지벌레들이 휩쓸고 간 흔적이다. 숲속 여기저기에는 잘려진 해송들이 널브러져 있다. 부산시에 따르면 올해 금정산과 기장 일대 1355㏊에서 2만여그루가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를 봤다. 1996년 부산 남구 용호동 신선대조림목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13년만의 일이다. 솔껍질깍지벌레는 요즘 한창 성충으로 자라고 있다.
'괴(怪) 벌레'들이 몰려오고 있다. 한반도에서 찾아볼 수 없던 신종 벌레가 출현하고, 드물었던 벌레들까지 크게 늘어나고 있다. 산과 들, 바다를 가리지 않고 육·해·공 전방위로 '벌레들의 침공'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.
벌레들은 벼와 옥수수 등 농산물을 왕성하게 먹어치우고, 주택가까지 침범해 사람을 괴롭힌다. 벌레를 피해 이사하는 주민들도 적지 않다. 국립보건원 권준욱 과장은 "중국에서는 뎅기열모기가 2006년 광둥성에서 처음 발견됐다. 이 모기는 출혈열을 일으켜 사람을 죽게 할 수도 있다."면서 "한국도 아열대를 닮아가는 만큼 뎅기열 모기의 안전지대일 수는 없다."고 말했다. 29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꽃매미 출현 면적은 2006년 1㏊에서 3년만인 올해 2765㏊로 퍼졌다. 꽃매미는 중국에서 날아든 신종 벌레다. 현재 전북 부안과 경북 영천까지 남하했다. 같은 기간 멸강나방은 40배 이상 급증했다. 애멸구는 5배 정도 늘었다. 두 해충도 중국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왔다.
이준호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"온난화 속도에 비례해 외래 해충 유입이 늘어날 것"이라며 "검역 강화 등 확산경로 차단 노력을 크게 강화해야 한다."고 강조했다. (서울신문 | 입력 2009.07.30 )
'괴(怪) 벌레'들이 몰려오고 있다. 한반도에서 찾아볼 수 없던 신종 벌레가 출현하고, 드물었던 벌레들까지 크게 늘어나고 있다. 산과 들, 바다를 가리지 않고 육·해·공 전방위로 '벌레들의 침공'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.
벌레들은 벼와 옥수수 등 농산물을 왕성하게 먹어치우고, 주택가까지 침범해 사람을 괴롭힌다. 벌레를 피해 이사하는 주민들도 적지 않다. 국립보건원 권준욱 과장은 "중국에서는 뎅기열모기가 2006년 광둥성에서 처음 발견됐다. 이 모기는 출혈열을 일으켜 사람을 죽게 할 수도 있다."면서 "한국도 아열대를 닮아가는 만큼 뎅기열 모기의 안전지대일 수는 없다."고 말했다. 29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꽃매미 출현 면적은 2006년 1㏊에서 3년만인 올해 2765㏊로 퍼졌다. 꽃매미는 중국에서 날아든 신종 벌레다. 현재 전북 부안과 경북 영천까지 남하했다. 같은 기간 멸강나방은 40배 이상 급증했다. 애멸구는 5배 정도 늘었다. 두 해충도 중국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왔다.
이준호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"온난화 속도에 비례해 외래 해충 유입이 늘어날 것"이라며 "검역 강화 등 확산경로 차단 노력을 크게 강화해야 한다."고 강조했다. (서울신문 | 입력 2009.07.30 )
'환경 > 온난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구온난화가 부르는 환경재앙 5가지 (0) | 2009.09.15 |
---|---|
북극 기온 2천년 만에 최고 (0) | 2009.09.04 |
알래스카 빙하 녹고 땅은 솟고 '온난화 진풍경' (0) | 2009.05.20 |
'기후 변화-우리의 미래는 당신의 손에' (0) | 2009.05.18 |
지구 환경을 되살릴 ‘씨앗 폭탄’ (0) | 2009.05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