포도주의 종류 및 특성
1. 와인의 유래
포도주는 역사가 매우 오래된 술로서, 지구상에 인류가 출현하여 야생의 포도나무 열매를 채취하여 보관하던중 그것이 자연 발효되어 괴어 있는 것을 마시게 된것으로 추정되며 이것이 언제부터인가는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. 와인의 특징은 알코올 함량이 낮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부담이 없는 음료로서 신욕을 증진시미고 소화를 촉진시키며, 수확의 연도에 따라 맛과 질의 차이가 있다.
2. 포도주의 제조방법
포도주는 과실류의 대표적인 양주로서 드 종류에 따라 제조 방법이 서로 차이가 있다.
적색 포도주 ( Red Wine )
열매가 잘 숙성된 적색 계통의 포도주 껍질과 함께 그대로 잘 으깬 다음 7-14일간
모든 당분이 거의 없어질 때까지 계속 발효시켜 제조.
백색 포도주 ( White Wine )
녹색 계통의 포도주 껍질을 제거한 후 즙을 내어 20일 이상 일정한 온도(12-20도)를
유지하여 발효시킨다.
핑크색 포도주 ( Rose Wine )
- 붉은색의 포도주와 녹색포도열매를 혼합하는 경우.
- 적포도를 원료로 하여 껍질을 짧은 시간에 처리함으로써 적당한 핑크색과 풍미를
가미하는 방법이 있으며, 맛과 향이 백포도주에 가까운 포도주라 할 수 있다.
3. 포도주의 분류
색에 의한 분류
- 적포도주 (Red Wine), 백포도주 (White Wine)
- 핑크색 포도주 (Rose Wine), 황색포도주 (Yellow Wine)
맛에의한 분류
- 단맛의 포도주 ( Sweet Wine ) - 신맛의 포도주 ( Dry Wine )
알코올 함량에 의한 분류
- 강화 포도주 ( Fortified Wine )
브랜디를 첨가한 알코올 도수 16-20도의 포도주.
- 비강화 포도주 ( Unfortified Wine )
일반적인 테이블 와인(Table Wine)으로서 알코올 15도 이하의 포도주.
탄산가스 함량에 따른 분류
- 발포성 포도주 ( Spakling Wine )
포도주에 탄산가스가 함유된 종류로서 샴페인이 대표적인 예이다.
- 비발포성 포도주 ( Still Wine )
가스가 제거된 일반적인 테이블 와인을 말한다.
식사와 관련된 분류.
- 식사 전 포도주 ( Aperitif Wine )
에피타이즈(Appetizer)나 수프코스(Soup Course)에서 곁들일 수 있는 포도주
- 식사 중 포도주 ( Table Wine )
식사와 함께 곁들일 수 있는 포도주를 말하며 적포도주(육류)와 백포도주(생선류).
- 식후 포도주 (Dessert Wine)
식후 후식과 함께 곁들이는 포도주- 단맛이 나는 와인이나 발포성 포도주.
생산국에 의한 분류
- 프랑스산 와인 ( French Wine )
포도주의 본고장으로서 포도주의 생산과 판매수출이 법률에 의해 엄격히
규제되므로 품질이 세계적으로 우수하다.
- 독일산 와인 ( German Wine )
세계 생산량의 80%를 차지하며 수확 시기에 따라 맛이 각양각색이다.
- 스페인 와인 ( Spain Wine )
대표적인 포도주로서 백포도주의 일종인 셰리(Wherry Wine)가 있으며,
스페인 포도주는 양적인 면에서 세계3위의 산출국이며, 생산량은 1위.
- 이태리 와인 ( Italy Wine )
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것이 특징이며, 품질 향상을 위한(소비자보호) 통제법이
시행되고 있다. 버무스(Vermouth)와 칸티(Chianti)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.
- 포르투갈 와인 ( Portugal Wine )
도우로(Douro),가 대표적인 와인, 지방에서 생산되는 포드와인(Port Wine)이
있으며 이는 주정이 16.5-180도 정도로 브랜디(Brandy)를 첨가하여 변질을 방지.
- 미국 와인 ( American Wine )
1840-1860년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품종 개량을 하여 많은 품질의 향상을 보았으며,
미국 포도주는 캘리포니아주와 오하이오주에서 전국 생산량의 80%를 생산.
4. 포도주를 즐기는 방법
포도주의 맛보기(Taste)는 주인(Host)이 먼저 맛보는 것이 상례이며, 글라스는 목 부분(Stem)을 잡고 마신다. 또한 와인을 마시기 전에는 독한 담배나 자극성 있는 음식은 가급적 삼가며, 백포도주는 글라스의 3분의 2정도, 적포도주는 글라스의 4분의 3정도 따라 한잔을 3-4회로 나누어 마시는 것이 상례이다.
포도주는 급격한 가열이나 냉각은 삼가야 한다. 그 이유는 음료가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. 그리고 마실 때는 침전물(sediment)이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장기간 보관시에는 코르크 마개 용기를 밑으로 약 30도 정도 기울여 보관한다. 제공 온도는 백포도주나 샴페인은 섭씨 7-10도, 적포도주는 섭씨 17-20도 정도가 이상적이다.
'사는 이야기들 > 술,술,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위스키 마시는 법 (0) | 2007.05.17 |
---|---|
맥주는? (0) | 2007.05.16 |
막걸리란???? (0) | 2007.05.11 |
한 번은 꼭 마셔볼 만한 와인 30선 (0) | 2007.05.10 |
떼낄라의 역사와 종류 (0) | 2007.05.08 |